(1)PB관:폴리부틸렌관
(2)PE관:고밀도 폴리에틸렌관(X-L파이프등)
(3)PP관:폴로필렌을 중합하여 얻는 열가소성 수지이다. 이불솜, 돗자리, 보온병 등에 쓰인다.
PB관의 원료인 폴리뷰틸렌(PB)은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폴리오레핀계의 수지지만 표 1-1과 같이 분량이 많은 첨단소재입니다.
표 1-1 폴리오레핀계 수지의 분자량 비교
수지명 |
분자식 |
평균분자량 |
폴리뷰틸렌 (PB) |
[ - CH₂- CH - CH₂-CH₂]ⁿ |
150만 |
폴리에틸렌 (PE) |
[ - CH₂- CH₂- ]ⁿ |
12~13만 |
폴리프로피렌 (PP) |
[ - CH₂- CH - CH ₃]ⁿ |
20~30만 |
찬물이 나오는 곳은 급수설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바닥장판(또는 나무마루)을 거더내면 세멘트로 미장한 바닥이 나오는되 그 밑에 급수배관이 있습니다. 보통 아연도 강관, PB관 사용하고 동관도 사용합니다.
뜨거운 물이 나오는 급탕배관은 가스보일러에서 형제처럼 급수배관과 필요한 곳에 나란하게 같이 있고 배관재질도 같습니다. 마감이 되면 배관은 눈에 보이지 않고 욕실((세면기, 욕조, 샤워)와 주방(씽크수전), 발코니 세탁실 등에 수도꼭지만 보입니다.
배수설비 역시 씽크배수, 욕실(양변기,세면기, 욕조, 바닥배수), 발코니에 바닥에 묻혀 있어서 보이지 않고 물내리가는 배수되는 기구만 보입니다. 배관재는 보통 PVC VG2 사용합니다.
난방설비는 가스보일러에서 씽크대 밑에 있는 온수분배기로 뜨거운 물을 보내고 각방과 거실에 코일형식으로 바닥에 묻혀있어 방을 뜨겁게 합니다. 보일러에서 온수분배기까지는 PB관 정도 사용하고 바닥코일은 X-L파이프 사용합니다.
가스배관은 아파트 외벽을 타고 세탁실 옆으로 와서 보일러와 가스렌지에 연결되는 배관으로 아파트의 에너지입니다. 강관재+노란페인트을 쓰지요.
'호수 하얀집 > 하얀집農事'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 가을수확- 도토리 묵만들기 (0) | 2012.11.01 |
---|---|
2012년 가을수확-감 (0) | 2012.11.01 |
농진청 약초교육 수료 (0) | 2012.08.10 |
유기농 이엠예찬(EM-Effective Micro-organisms) (0) | 2012.07.24 |
유기농 현미식초농법 (0) | 201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