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仁義禮智信/故事와成語

어부가 공자를 만나다... 어부가 공자를 만나다 - 장자(잡편) ; 제31편 어부[1]- 孔子遊於緇帷之林, 공자유어치유지림, 공자가 우거진 숲 속을 가다가 休坐乎杏壇之上. 휴좌호행단지상. 살구나무가 있는 높은 단에 앉아 쉬고 있었다. 弟子讀書, 제자독서, 제자들은 책을 읽고, 孔子絃歌鼓琴, 공자현가고금, 공자는 노래를 부르며 거문고를 타고 있었다. 奏曲未半, 주곡미반, 타던 곡이 반도 끝나기 전에 有漁父者, 유어부자, 한 어부가 下船而來, 하선이래, 배에서 내려왔다. 須眉交白, 수미교백, 수염과 눈썹은 새하얗고 被髮揄袂, 피발유몌, 머리칼을 풀어 헤친 채 소매를 휘저으며 行原以上, 행원이상, 강가의 둔덕으로 올라와 距陸而止, 거륙이지, 발을 멈추었다. 左手據膝, 좌수거슬, 그리고 왼손은 무릎 위에 놓고 右手持頤以聽. 우수지이이청... 더보기
가르침을 청하다. 공자가 어부에게 가르침을 청하다 - 장자(잡편) ; 제31편 어부[2]- 子貢還, 報孔子. 자공환, 보공자. 자공이 돌아와 공자에게 그 사실을 알리니, 孔子推琴而起曰: 공자추금이기왈: 공자는 거문고를 밀쳐놓고 일어나 말했다. 「其聖人與!」 「기성인여!」 “그는 성인일 것이다.” 乃下求之, 내하구지, 그리고는 그를 뒤쫓아 至於澤畔, 지어택반, 못 가에 이르니 方將杖拏而引其船, 방장장나이인기선, 어부는 막 삿대를 집고 배를 띄우려는 참이었다. 顧見孔子, 고견공자, 공자를 돌아보고는 還鄕而立. 환향이립. 몸을 돌려 그를 향해 마주섰다. 孔子反走, 공자반주, 공자는 뒷걸음질쳐 再拜而進. 재배이진. 두 번 절하고 앞으로 나아갔다. 客曰: 객왈: 어부가 물었다. 「子將何求?」 「자장하구?」 “내게 무슨 볼 일이 있.. 더보기
제 분수를 지키기란?? 공자가 분수에 맞지 않는 일을 하고 있다. - 장자(잡편) ; 제31편 어부[3]- 客曰: 객왈: 어부가 말했다. 「同類相從, 「동류상종, “같은 종류 것들끼리 서로 어울리고, 同聲相應, 동성상응, 같은 종류의 소리들끼리 서로 화응하는 것이 故天之理也. 고천지리야. 본래 천지자연의 도리입니다, 吾請釋吾之所有 오청석오지소유 내가 터득한 대도는 놓아두고 而經子之所以. 이경자지소이. 그대가 하는 일에 대해 얘기해 보겠습니다. 子之所以者, 자지소이자, 그대가 하는 것은 人事也. 인사야. 사람의 일입니다. 天子諸侯大夫庶人, 천자제후대부서인, 천자, 제후, 대부, 서민 此四者自正, 차사자자정, 이 네 가지 인간이 스스로 제 위치에 바르게 서는 것은, 治之美也, 치지미야, 세상이 잘 다스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四者.. 더보기
가르칠 자격?? 여덟 가지 흠과 네 가지 환란 - 장자(잡편) ; 제31편 어부[4]- 「且人有八疵, 「차인유팔자, “사람에게는 여덟 가지 흠이 있고, 事有四患, 사유사환, 일에는 네 가지 환란이 있으니 不可不察也. 불가불찰야. 그것을 살피지 않으면 안됩니다. 非其事而事之, 비기사이사지, 자기가 할 일이 아닌데도 그 일을 하는 것을 謂之摠. 위지총. 외람됨이라 합니다. 莫之顧而進之, 막지고이진지, 그를 거들떠보지도 않는데도 진언하는 것을 謂之佞, 위지녕, 간사함이라 합니다. 希意道言, 희의도언, 남의 뜻에 맞도록 말을 이끌어 가는 것을 謂之諂. 위지첨. 아첨이라 합니다. 不擇是非而言, 불택시비이언, 시비를 가리지 않고 말하는 것을 謂之諛. 위지유. 떠벌이라 합니다. 好言人之惡, 호언인지악, 남의 악한 점을 얘기하기 좋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