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仁義禮智信/故事와成語

깨닮음이란?? 자기 몸을 닦고, 그 진실함을 신중히 지켜 명예 같은 외물은 사람들에게 되돌려 주면 환란도 없다. - 장자(잡편) ; 제31편 어부[5]- 孔子愀然而歎, 공자초연이탄, 공자는 슬픈 듯이 탄식하며 再拜而起曰: 재배이기왈:두 번 절하고 일어나 말했다. 「丘再逐於魯, 「구재축어로, “저는 노나라에서 두 번이나 쫓겨났고, 削迹於衛, 삭적어위, 위나라에서는 추방당하고, 伐樹於宋, 벌수어송, 송나라에서는 나무를 베어 넘겨 저를 죽이려 했고, 圍於陳蔡. 위어진채. 진나라와 채나라 사이에서는 포위를 당했었습니다. 丘不知所失, 구부지소실, 제가 잘못한 것을 알지 못하겠는데도 而離此四謗者何也?」 이리차사방자하야?」 이런 네 가지 고통을 겪었던 것은 어째서입니까?” 客悽然變容曰: 객처연변용왈: 어부는 슬픈 듯이 얼굴빛을 바.. 더보기
眞者, 진실함이란?? 진실함이란 정성이 지극한 것이다. - 장자(잡편) ; 제31편 어부[6]- 孔子愀然曰: 공자초연왈: 공자가 슬픈 듯이 말했다. 「請問何謂眞?」 「청문하위진?」 “어떤 것을 진실함이라 하는 것입니까?” 客曰: 객왈: 어부가 말했다. 「眞者, 精誠之至也. 「진자, 정성지지야. “진실한 것이란 정성이 지극한 것입니다. 不精不誠, 부정불성, 정성 되지 못하면 不能動人. 불능동인. 남을 움직일 수가 없습니다. 故强哭者 고강곡자 그러므로 억지로 곡하는 사람은 雖悲不哀, 수비불애, 비록 슬픈 척 해도 슬프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强怒者 강노자 억지로 화난 척하는 사람은 雖嚴不威, 수엄불위, 비록 엄하게 굴어도 위압을 주지 못합니다. 强親者 강친자 억지로 친한 척하는 사람은 雖笑不和. 수소불화. 비록 웃는다 해도 친근하.. 더보기
삼국지 관련 사자성어 ♣ 삼국지와 관련된 사자성어 50개 ♣ 1.간뇌도지(肝腦塗地) 간과 뇌장을 쏟아낸다는 뜻. 사지에서 아두를 구해온 조운에게 유비가 도리어 아두를 땅바닥에 집어던지며, '이 아이 하나 때문에 명장을 잃을 뻔 했구나!'고 탄식하자 조운이 감복하여 '간과 뇌장을 쏟아내도 주공의 은공을 갚을수 없겠습니다'고 말하였다. 2.강노지말(强弩之末) 강하게 날아간 화살도 멀리 날아가 끝에 이르러서는 비단결 한 장 뚫지 못한다는 뜻. 제갈량이 적벽전에 앞서 손권을 만나면서 그를 안심시키기 위해 이렇게 말하였다. 여기서는 강노가 조조의 병력을 뜻한다. 3.개문읍도(開門揖盜) 문을 열어두고 도둑을 맞이한다는 뜻. 손책 사후 그의 뒤를 이은 손권이 자칫 슬픔에 젖어 국정을 그르칠까 두려워 장소가 충고 하였다. (유사) 개문납적.. 더보기
故事와 成語 해가 바뀌니 무언가 새로워지고 싶은 마음입니다. 해서 많고 많은 말과 글들에서 그 어원과 뜻을 찾아 보고 그 속에 담겨진 뜻을 스스로 새겨 작게나마 마음을 다져보고자 이 방을 마련합니다. 이곳을 찾는 여러분들과 함께..... 오늘은 우선 故事成語가 무엇인가를 먼저 공부해야 것지요?... 고사성어[ 故事成語 ]란? 옛 이야기에서 유래되어 생긴 말로 비유적인 내용을 함축하고 있다.옛 이야기에서 유래된 말로, 여기에는 옛 이야기는 신화·전설·역사·고전·문학 작품 등이 포함된다. 고사성어는 교훈·경구·비유·상징어 및 관용구나 속담 등으로 사용되어 일상 언어생활에서의 표현을 풍부하게 해준다. 한국·중국에서 발생한 고사성어는 〈어부지리〉처럼 4자 성어가 대부분이지만, 단순한 단어로서 예사롭게 쓰는 〈완벽〉이나 벼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