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江陵劉 門中/ 先祖의香氣

유세원(劉世源) 선조

죽간일집을 간행한 유세원(劉世源) 선조

世源 세원
동도시조 文襄公(문양공) 휘 荃(전)의 27세
본관시조 菊齋公(국재공) 휘 承備(승비)의 19세
경력공파(經歷公派) 휘 智周(지주) 의 14세
 用良系(용량계) 13세 이시다. 
 

성     별

   남    여  / /  음력  양력

수 단 비

납부 미납 모름

 霽岡(제강)

자/일명

 景欽(경흠)

거 주 지

 

시  호

 

출    생
년 월 일

 1850년 경술(庚戌) 09월 27일

사    망
년 월 일

 1924년 갑자(甲子)년 12월 19일

나   이

  세

책페이지

 030307

관    직

 

 경력공파(經歷公派)   후 用良系  

행    적

자(字)는 景欽(경흠)이고 호(號)는 霽岡(제강)이다.
1850년 경술(庚戌) 09월 27일에 태어났다.
공은 품기가 단정하고 총명이 정수하여 경사에 박통하므로 세간에서 학식이 높은 선비라 칭하였다. 당시 야성군(野城郡)안에서 팔재사(八才士)에 뽑혔으며 그 이름이 예림록(藝林錄) 및 야성읍지(野城邑誌)에 실렸었고 학문을 배운 여러 유생들이 제오정(霽梧亭)을 건립하였다.

시조 죽간공(竹諫公)의 유고가 있었으나 먼지가 쌓여 좀이 먹고있는 중이라 남은것을 겨우 모아 극성으로 정교하여 자손에게 명하시어 간행하고 반포하게 하였다.

1924년 갑자(甲子)년 12월 19일 사망하였다.
묘소는 경북 영덕군 축산면 조항리 안 골짜기(慶北盈德郡丑山面鳥項里內谷)의 장등(長嶝)에합봉(合封)으로 임좌(壬坐)이다. 갈석(碣石)과 상석(床石)이 있고 계단아래에 지석(誌石)을 묻었다. 비문은 성재이공용호(省齋李公用鎬)가 지었다.
1990년 경오(庚午) 09월 11일에 후손이 향리에 유허비(遺墟碑)를 건립하였으며 비문은 영양(英陽)사람 南炳基(남병기)가 지었다.

配(배)는 전주(全州) 李(이)씨로 奎昊(규호)의 따님이다.
효녕대군(孝寧大君)후 1922년 임술(壬戌) 07월 18일 사망하였다.

청룡재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석산리 계석마을에 위치한다. 계석마을은 금정산 최북단의 머리 부분에 해당하는 셋바위의 정북쪽 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앞쪽으로는 양산시청과 신도시를 내려다보고 있다. 마을 뒷산에는 선바위가 우뚝 솟아 위용을 자랑하며 마을을 수호하고 있다.

1650년경 강릉유씨 경력공파 16세손 유호만(劉好晩)이 입촌했다는 기록이 있고, 마을 입구에는 화원이 있고 그 옆으로는 약국 등 몇개의 식당이 있다.
대정아파트 입구에 마을회관이 있다.

마을 끝자락인 극동아파트 뒷쪽에는 강릉유씨 입향조인 19세손 유세원(劉世源)을 기리기 위해 1999년에 건립한 재실이 있는데,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석산리 354번지에 있는 강릉유씨 재실이다. 강릉 유씨의 문중 재실로 양산의 입향조인 19세 세원(世源)을 기리기 위해 1999년에 건립하였다. 정면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콘크리트 건물이다.

매년 음력 10월 보름에 30명 정도의 후손이 모여 제사를 지내고 있다.

 청룡재 전경

입향조 19세 世源을 기리기 위해 1999년에 건립하였다.

정면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콘크리트 건물이다

제오정(霽梧亭)

경북 영덕군 달산면 인곡리에 위치하며 유세원(劉世源) 선조께서 간행한 죽간일집 문양공, 시 (文襄公, 詩) 목각판을 소장(木刻板所藏)하여 보존관리하는 곳이다. 후손 유태호 종친께서 관리하고 있다.

제오정 전경

 

 

 

 

 

 

 

 

제오정에 모셔진 죽간집 목판본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