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仁義禮智信

자연의 순환법칙-삶과 죽음

삶과 죽음의 의미와 인간의 본성

자연의 순환법칙에 순응하는 것을 진리로 여겨온 우리선조들은 삶[生]과 죽음[死]을 둘로 여기지 않았다. 그래서 주어진 수명을 다 채우지 못하고 죽는 비명횡사(非命橫死)를 당하면 슬퍼했지만 천수(天壽)를 다 누리고 맞는 죽음은 그렇게 슬퍼하지 않았다. 때가 되어 왔다가 때가 되어 떠나는 계절이 남기고 간 자취처럼 고인의 음덕을 되새기며 예의를 갖추었다.

이런 사실은 천수(天壽)를 다 누린 처의 명복을 빌면서 노래로 이별을 고한 고대 중국의 철학자였던 장자(莊子)의 행적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장자(莊子)의 처(妻)가 죽어 친구인 혜자(惠子)가 장자(莊子)를 위로하러 문상을 갔다. 그런데 장자(莊子)는 두 다리[箕踞]를 쭉 뻗고 앉아서 흙으로 만든 장구[盆]을 치면서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친구인 혜자(惠子)가 장자의 이런 모습을 보고 그대와 더불어 살면서 자식을 키우고 몸이 늙어 죽었거늘 울지 않는 것도 또한 족(足)한데 어찌 장구[盆]를 치면서 노래를 부르고 있는가. 너무 심한 것 아닌가라며 꾸짖었다.

그러자 장자(莊子)가 그렇지 않다네. 아내가 죽었을 때 처음에는 나 역시 홀로 어찌 그렇게 슬퍼하지 아니했겠는가. 그러나 그 처음[始]을 살펴보니 본래 무생(無生)인 것이며 무생(無生)인 것뿐만 아니라 본래 형상(形)이 없는 것이며 형상(形)이 없는 것뿐만 아니라 본래 기운(氣)도 없는 것이며 황홀한[芒笏] 모양 사이에 섞이고 변하여 기운(氣)이 있게 되고 기운(氣)이 변하여 형상이 있게 되었으며 형상이 변하여 사람[生]으로 탄생한 것이며 이제 또한 변하여 처가 죽게 된 것은 봄[春] 여름[夏] 가을[秋] 겨울[冬]이 되어서 사계절이 변하는 것과 같다(莊子妻死, 惠子弔之, 莊子則方箕踞鼓盆而歌, 惠子曰與人居, 長子, 老身死不哭, 亦足矣, 又鼓盆而歌, 不亦甚乎, 莊子曰不然, 是其始死也, 我獨何能無槪然. 察其始, 而本無生, 非徒無生也, 而本無形, 非徒無形也, 而本無氣, 雜乎芒笏之間, 變而有氣, 氣變而有形, 形變而有生, 今又變而之死, 是相與爲春秋冬夏, 四時行也).”고 했다. 그야말로 진리를 깨우치지 못한 소인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행적이다.

 

도교 49제(祭)와 불교 49재(齋) 의미 서로 다른 것

대체로 삶과 죽음에 대한 인식은 같았지만 고인의 명복을 비는 상례의식은 다양했다. 사람이 죽은 뒤 49일 동안 7번의 제사를 지내는 49제(四十九祭)라고 하는 도교식 상례의식과 49재(四十九齋)라고 하는 불교식 상례의식, 그리고 3년 동안 초하루와 보름날을 비롯한 기일 등에 제사를 지내는 유교식 상례의식이 그것이다.

그런데도 49제(四十九祭)와 49재(四十九齋)를 같은 상례의식으로 인식하며 6세기경 중국에서 유교적인 조령(祖靈) 숭배사상과 불교의 윤회사상이 절충된 상례의식으로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이 매우 많다.

 

그러나 이런 인식은 오해라고 할 수 있다. 유교의 3년 상(喪)은 부모님의 음덕을 기리며 생전의 예(禮)로 부모님의 혼백을 편안히 모시는 의미가 담긴 상례의식이 되고, 집재(齋)자를 쓰는 불교의 49재(齋)는 윤회사상을 바탕으로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긴 상례의식이 되며, 제사 제(祭)자를 쓰는 도교의 49제(祭)는 출생할 때 결합된 혼백이 분리되어 떠나가는 것을 슬퍼하는 의미가 담긴 상례의식이기 때문이다.

도교에서는 태어날 때 혼과 백이 만나는 과정과 죽을 때 혼과 백이 분리되는 과정이 같다고 하며 49일간 7번의 제(祭)를 올린다.

 

그러니까 첫 울음소리와 동시에 결합되는 혼과 백은 7일 간격으로 안정되어 49일이 되면 혼과 백이 온전하게 자리를 잡고, 죽음과 동시에 분리되는 혼과 백은 7일 간격으로 분리되어 49일이 되면 완전히 분리 된다고 해 원만한 혼과 백의 분리를 기원하며 7일마다 제(祭)를 올린다는 뜻이다.

 

제사는 인간의 본성을 회복하는 것

 

<도교대사전>에서 “도교에서는 사람이 죽은 뒤 매 7일을 기일[忌]이라고 하며, 7× 7 = 49일에 이르면 곡(哭)을 하지 않는다. 사람이 태어난 초기 7일을 납(臘)이라고 하며 사람이 죽은 초기 7일은 기(忌)라고 한다. 일랍(一臘) 즉 사람이 태어난 초기 7일이 되면 1백(一魄)이 완성된다. 그러므로 7×7 = 49일이 되면 7백(七魄)이 모두 갖추어지고, 일기(一忌) 즉 사람이 죽은 초기 7일이 되면 1백(一魄)이 흩어진다. 그러므로 7×7 = 49일이 되면 7백(七魄)이 모두 없어지게[泯]하게 된다(道家以人死後每七日爲忌, 至七七四十九日則卒哭。人之初生, 以七日爲臘, 人之初死, 以七日爲忌。一臘而一魄成, 故七七四十九日而七魄具矣., 一忌而一魄散, 故七七四十九日而 七魄泯矣).”고 했다. 불교의 상례의식인 49제와 그 기간은 같지만 의미는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유교의 상례의식은 누구나 출생 후 3년 동안은 부모님의 젖을 먹고 또 보살핌을 받았기 때문에 3년간 곡(哭)을 하며 제(祭)를 올리는 것은 최소한의 도리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례기간이 너무 길고 비용부담이 크다고 비판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유교의 시조로 추앙받는 공자(孔子)님의 제자였던 재아(宰我)도 그 중에 한 사람이었다.

 

재아(宰我)가 “3년 상(喪)은 기간이 너무 긴 것이 아닙니까?” 라고 공자님께 질문했다. 그러자 공자(孔子)님께서 “……재아는 불효를 하는구나. 사람이 태어나서 3살이 되고 그런 연후에 부모님의 품을 벗어난다. 대체로 3년의 상(喪)은 천자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지내는 것이며, 재아도 3년은 그 부모의 사랑을 받았을 것이다(宰我問三年之喪, 期己久矣。……子曰予之不仁也, 子生三年, 然後免於父母之懷。夫三年之喪, 天下之通喪也, 予也, 有三年之愛於其父母乎).”라고 하셨다.

 

우리선조들께서 효도를 백행의 으뜸으로 여겨온 가장 큰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상의 음덕을 기리는 마음으로 제를 올리는 것은 인간의 본성을 회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仁義禮智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기와 자신감  (0) 2020.02.02
음덕양보(陰德陽報)  (0) 2016.03.22
독도에 대한 명확한 정리  (0) 2016.01.30
秋松江欽慕 我酒哲學  (0) 2015.09.24
蓬生麻中 不扶直  (0) 2015.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