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상의 말씀

법구경9-악행품(惡行品자신을 해치는 나쁜 행동들) 9. 악행품(惡行品) 한명숙 역/홍익출판사/1999.07/자료입력:김미경 - 자신을 해치는 나쁜 행동들 악행품이란 악한 사람은 움직일 때마다 죄에 따른 과보를 받아서, 어떤 행동을 해도 근심이 따르지 않는 경우가 없음을 느끼게 한 것이다. 惡行品者 感切惡人 動有罪報 不行無患 악행품자 감절악인 동유죄보 불행무환 악행품.1장 선을 보고 따르지 않으면 오히려 악한 마음을 따르게 되며 바르지 않은 것으로 복을 구하면 오히려 그릇된 음욕을 즐기게 된다. 見善不從 反隨惡心 求福不正 反樂邪음 견선부종 반수악심 구복부정 반락사음 악행품.2장 무릇 사람이 악을 행하고도 스스로 깨닫지 못하고 어리석어 즐거운 마음으로 행한다면 그때부터 독이 무성하게 퍼지리라. 凡人爲惡 不能自覺 愚癡快意 今後鬱毒 범인위악 불능자각 우치쾌의 .. 더보기
법구경8-술천품(述千品 천마디 말을 듣고, 천 번을 행할지라도) 8. 술천품(述千品) 한명숙 역/홍익출판사/1999.07/자료입력:김미경 - 천마디 말을 듣고, 천 번을 행할지라도 술천품은 배우는 사람이 경전을 대하는 바른 태도는 아무리 많아도 핵심이 없는 것보다는 아무리 간략해도 내용이 명료한 것이 낫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述千品者 示學者經 多而不要 不如約明 술천품자 시학자경 다이불요 불여약명 술천품.1장 비록 천 마디의 글귀를 암송하여도 그 글의 뜻이 바른 것이 아니라면 들어서 마음을 고요하게 할 수 있는 단 한마디의 중요한 글귀가 낫다. 雖誦千言 句義不正 不如一要 聞可滅意 수송천언 구의부정 불여일요 문가멸의 술천품.2장 비록 천 마디의 글귀를 외우더라도 올바른 이치 드러나지 않으면 무슨 이익이리. 듣고 행하여 피안으로 건널 수 있는 한마디 뜻 있는 글귀가 낫다.. 더보기
법구경7-나한품(羅漢品 어려움 이겨낸 참된 사람) 7. 나한품(羅漢品) 한명숙 역/홍익출판사/1999.07/자료입력:김미경 - 어려움 이겨낸 참된 사람 나한품이란 아라한의 성품은 욕심을 벗어나고 집착이 없어 마음이 대상을 좇아 변화하지 않음을 밝힌 것이다. 羅漢品者 言眞人性 脫欲無着 心不투變 나한품자 언진인성 탈욕무착 심불투변 나한품.1장 근심과 걱정을 여의고 다른 모든 것으로부터도 벗어나 모든 얽매임을 떨쳐 버렸으니 그 마음 한결같아 변하지 않네. 去離憂患 脫於一切 縛結已解 冷而無煖 거리우환 탈어일체 박결이해 냉이무난 나한품.2장 마음이 깨끗하고 깊이 생각하며 욕심낼 만한 것을 즐기지 않으니 기러기가 제 놀던 연못을 훌쩍 떠나는 것처럼 어리석음의 깊은 수렁을 이미 건넜네. 心淨得念 無所貪樂 已度癡淵 如안棄池 심정득념 무소탐락 이도치연 여안기지 나한품... 더보기
법구경6-명철품(明哲品 지혜로운 사람) 6. 명철품(明哲品) 한명숙 역/홍익출판사/1999.07/자료입력:김미경 - 지혜로운 사람 명철품은 지혜로운 수행자는 복된 일을 하고 도리를 힘써 실천하며 법(法)을 자신을 비춰 보는 밝은 거울로 삼는다는 것을 밝혔다. 明哲品者 擧智行者 修福進道 法爲明鏡 명철품자 거지행자 수복진도 법위명경 명철품.1장 선하고 악한 것을 자세히 살피고 두려운 일 꺼려야 할 일 마음으로 알아 두려워하여 범하지 않으면 마침내 행복하여 걱정이 없어지리. 深觀善惡 心知畏忌 畏而不犯 終吉無憂 심관선악 심지외기 외이불범 종기무우 명철품.2장 그러므로 세상에 복된 이 있어 마음에 두어 생각하고 행동을 따르면 바라는 것을 모두 이루고 행복은 더욱 커져가리라. 故世有福 念思紹行 善致其願 福祿轉勝 고세유복 염사소행 선치기원 복록전승 명철품.. 더보기